본문 바로가기
JavaScript

Javascript null,공백 예외처리 방법

by 혀눅짱 2023. 3. 29.

현재 근무하고있는 실무에서는 스크립트 비중이 높은 시스템을 담당하고있다.(모바일 하이브리드)

아무래도 java ,db 위주로 공부하고 실무경험을 했다보니 스크립트는 특정요소 컨트롤 및 이벤트 정도만 해왔는데

이번기회에 스크립트도 조금 정석적으로 공부해보려고한다.

 

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편하게사용할수있는 널,공백 처리방법을 적어본다.

뭐 서버언어든 클라이언트언어든 널공백체크는 실무에서 필수적이다.

java에서는 널과 공백을 한번에 체크하기위해 spring에서 제공하는 유틸클래스를 사용하기도하고 1.8부터 제공되는 optional클래스를 사용하기도 한다.

 

스크립트를 제대로 배워보지 않은 나는 항상 조건절에 조건식으로

 

let test = "test";
if(test != null && test != '' && typeof test != 'undefined'){
       console.log('test');
}

이런식으로 길게 나열하여 비효율적이였다.

 

이번에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라는 책을 구입하여 알게된사실을 적어본다.

 

자바스크립트엔진은 불리언타입이 아닌 값을 참 또는 거짓으로 평가되는 값으로 구분한다고 한다.

해당 값들은 조건절에서 쓰일경우 암묵적으로 타입변환이 된다고 한다.

 

암묵적으로 타입변환시 false로 평가되는 값은 

false, undefined, null, 0,-0, NaN, ''

 

즉 이것들은 조건절에 넣으면 false로 평기되기때문에 위의 코드를

let test = "test";
if(test){
  console.log('test');
}
 

바꿀수있다.

 

현재 근무지에서 스크립트가 되게 비효율적인 코드들이 많은데 스크립트를 좀 공부하여 리팩토링해보아야겠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