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ring Cloud EureKa 서비스 등록
SpringBoot를 통해 각각 서비스를 관리하는 discoveryService용 서버를 설정하는방법은
<dependency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.cloud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cloud-starter-netflix-eureka-server</artifactId>
</dependency>
먼저 넷플릭스 유레카 서버 디펜던시를 pom.xml에 추가한다.
@SpringBootApplication
@EnableEurekaServer //서비스 디스커버리로써 이용하겠다.
public class DiscoveryserviceApplic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DiscoveryserviceApplication.class, args);
}
}
그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@EnableEurekaServer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면 디스커버리 서비스용도의 서버가 띄워진다.
이제 디스커버리서비스에 등록하기위한 샘플클라이언트서비스용 프로젝트를 생성한후.
server:
port: 0
spring:
application:
name : user-service
eureka:
instance:
instance-id: ${spring.cloud.client.hostname}:${spring.application.instance_id:${random.value}}
client:
register-with-eureka: true
fetch-registry: true
service-url:
defaultZone: http://127.0.0.1:8761/eureka
인스턴스를 여러개 띄우기 위해 랜덤아이디로 설정하고 앞서 만든 디스커버리서비스 url을 적어준다.
@SpringBootApplication
@EnableDiscoveryClient
public class UserServiceApplic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UserServiceApplication.class, args);
}
}
메인어플리케이션에 @EnableDiscoveryClient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.
그후에 동일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여러개 띄운다. (인텔리제이에서 edit configuration을 통해 복사해도 되고 터미널로 실행해도좋다)
디스커버리 서비스에 접속하면
대쉬보드 형태로 자동으로 보여지는데 현재 두개의 인스턴스가 등록되어 활성화되는것을 알 수 있다.
최근 MSA 아키텍쳐가 대세다 보니 인강하나를 구매해서 듣고있는데 이론적인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진 않았는데 직접 간단한 샘플을 만들어 띄워보니 조금씩 와닿는것 같다.
하나의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단위로 쪼개서 별도의 인스턴스로 관리하고 각 인스턴스는 서비스특성에 맞는 프로그래밍언어와 dbms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.
서비스끼리 통신도 곧이어 학습하게 될 것이다. 지금까지 느낀것은 확실히 서비스단위로 관리되어 하나의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관련이 없는 다른서비스 운영에 지장이 가지 않고 또 각 서비스에 맞게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보니 굉장히 좋은 아키텍쳐인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
하지만 그만큼 통합 및 배포해야할 서버의 개수가 늘어나다보니 CI/CD는 필수적인것 같다. 계속 학습해보면서 조금 더 디테일하게 공부해 보아야겠다.